단백질 하루 얼마나 먹어야 하나 ?
- 작성자 안정은
- 등록일 2020-07-28
- 조회수 36992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단백질 하루 얼마나 먹어야 하나 ?
보통 단백질이라고 하면 비교적 지방성분이 적은 닭고기, 눈에 보이는 지방성분을 떼어낸 쇠고기에
단백질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는 지방 성분도 같이 포함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은 포화지방산(지방의 분류에서)의 성분이 적고 *콜레스테롤( 지방의 종류)이 없는 식물성 단백질을 선호하는데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이 콩류(된장, 두부)이다.
그러면 한국인은 얼마의 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우리 인체는 하루 얼마의 단백질을 먹어야 하는가
식품은 성장기의 아이, 어른, 어르신이 모두 같은 양을 먹지는 않는다.
우리 국민은
1일 평균 에너지 1,976 kcal(1969년 ~2001년)를 섭취하고 있으며
단백질 71.6g / 지방 41.6g / 탄수화물 315g 섭취하였다.
이는 삼대 에너지 구성 비율에서 살펴보면
단백질 : 지방 : 탄수화물의 비율이 14.9 : 19.5 : 65.6으로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에너지 구성 비율인
15(단백질) : 20(지방) : 65(탄수화물)와 유사하다.
이중에서 성장기의 아동들에게는
질이 좋은 동물성 단백질(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생선)을 2/3를 섭취토록 권장하고 있고 또 쇠고기는 값이 비싸므로 하루 섭취해야 할 단백질을 살펴보면
고기에서 지방 성분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닭고기에서 탁구공만한 크기가 40g이다. 우리 인체는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루 평균 단백질의 필요량이 72g인데
이중 동물성 단백질은 최하 하루 40g (탁구공 크기)을 먹도록 하고
나머지는 기타의 단백질인 생선 및 식물성 단백질로 섭취토록 한다.
그리고 이 단백질도 여타의 영양 성분처럼 식단의 구성에서 매일 균등하게 먹는 것이 한번씩 폭식하는 것보다 더 영양적이다.
한국인은 해가 갈수록 동물성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여
비만, 대장암 등 질병의 원인이 되어있으므로
가정의 주부는 부엌에 작은 저울을 두고서 가족들의 식단을 구성할 것을 권한다(특히 식품의 값이 비싼 단백질량 점검).
작은 저울은 마트 등에서 손 쉽게 구할 수 있다.
0. 햄, 소세지의 섭취
2017. 7. 27일자 신문에 의하면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매케인씨가 뇌종양 수술을 받고서도 미국의 국회에 참석했다. 미국은 건강보험법이 국회에 상정이 되고서 오래 전부터 해결이 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비유해서 한국의 건강보험법은 출범해서 비교적 순탄하게 진전이 되고 있다고 말하여 진다.
물론 개선을 동반하는 진전이다. 이제 한국인은 유병장수하는 것보다 무병장수해야 한다. 그리해야 건강보험의 재정이 흑자가 된다.
곡류 및 과일류의 식물성 식품에서보다
육류를 즐겨 섭취하는 사람들에게서 암이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우유를 발효시켜 요구르트가 되듯이 돼지고기 쇠고기 등이 저장식품으로 가공한 것이 햄 및 소세지이다.
햄 및 소세지에는 가공과정에서 붉은 색을 내는 발색제 및 보존제인 아질산염이 첨가가 되는데 이를 과다 섭취하면 인체에서 발암물질이 된다. 또한 훈제한 식품(연기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섭취해도 인체에서 발암물질이 생성된다고 한다.
그래서 정부식품에는 요구르트도 햄 및 소세지도 없으며 또한 훈제식품도 없다. 육류는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것을 구입해서 조리하여 먹도록 한다.
참고 문헌
0. 사단법인 대한영양사협회, [식사계획을 위한 식품교환표 (어육류군 6쪽)]
0. ?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년 16쪽 ~18쪽
0. 조선일보(1면), 동아일보(A8면) 2017. 7. 27일자
_____________________
*콜레스테롤 .......... 계란 노른자, 육류의 내장, 생선의 알류, 오징어에 많다.
-- 2017. 7. 27(목) --
등록 : 2017. 7. 27(목)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
.
★
.........................
BMI (체질량지수) : [ ` 2001 국민 .건강 영양 조사 ]
.........................
0. 체중 ( 남녀간 성차 )
* 한국인 남성의 체중 분포 : 35세 ~39세에 최대 값 : 70. 8 kg
* 한국인 여성의 체중 분포 : 50세 ~54세에 최대 값 : 59. 8 kg
0. BMI (체질량지수) : 체중 Kg / 키 (m) 제곱
* 1998년보다 남녀 모두 증가 (2001년 현재)
* 비만유병율은 남성들은 40대 전까지 높으며 여성은 40대 이후 비만유병율이 높아짐
* 여성은 BMI가 60대에 가장 높고 전체 비만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았다.
1. [ BMI 분포도 - 한국인 2001년 현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연령 / 20세~29세 / 40세~49세 / 60세~69세 / 70세 ~79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남 / 23.2 / 24.2 (최대) / 23. 2 / 22. 5
................................................................................
여 / 21. 4 / 23. 9 / 24. 9 (최대) / 23. 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 BMI에 의한 비만, 체중 부족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분 / BMI (체질량지수 = 체중 kg / 키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체중 부족 / 18.5 미만
정상 체중 / 18.5 ~ 24. 9
체중과다 / 25.0 ~ 29. 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BMI 계산 ] - 체중 kg / 키 ㎡
* 체중이 60kg이며 키가 160cm일 때 ..............
60 / (1.6m ) 제곱
60 / 1.6 × 1.6
60 / 2.56 = 23.4 (BMI 지수 - 정상 )
* 체중이 57kg이며 키가 157cm일 때 ...........
57 / (1.57)제곱
57 / 1.57 × 1.57
57 / 2.46 = 23. 1 (BMI 지수 - 정상 )
참고 문헌 :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년 158쪽~160쪽
등록 :2020. 7. 28(화)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단백질 하루 얼마나 먹어야 하나 ?
보통 단백질이라고 하면 비교적 지방성분이 적은 닭고기, 눈에 보이는 지방성분을 떼어낸 쇠고기에
단백질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는 지방 성분도 같이 포함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은 포화지방산(지방의 분류에서)의 성분이 적고 *콜레스테롤( 지방의 종류)이 없는 식물성 단백질을 선호하는데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이 콩류(된장, 두부)이다.
그러면 한국인은 얼마의 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우리 인체는 하루 얼마의 단백질을 먹어야 하는가
식품은 성장기의 아이, 어른, 어르신이 모두 같은 양을 먹지는 않는다.
우리 국민은
1일 평균 에너지 1,976 kcal(1969년 ~2001년)를 섭취하고 있으며
단백질 71.6g / 지방 41.6g / 탄수화물 315g 섭취하였다.
이는 삼대 에너지 구성 비율에서 살펴보면
단백질 : 지방 : 탄수화물의 비율이 14.9 : 19.5 : 65.6으로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에너지 구성 비율인
15(단백질) : 20(지방) : 65(탄수화물)와 유사하다.
이중에서 성장기의 아동들에게는
질이 좋은 동물성 단백질(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생선)을 2/3를 섭취토록 권장하고 있고 또 쇠고기는 값이 비싸므로 하루 섭취해야 할 단백질을 살펴보면
고기에서 지방 성분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닭고기에서 탁구공만한 크기가 40g이다. 우리 인체는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루 평균 단백질의 필요량이 72g인데
이중 동물성 단백질은 최하 하루 40g (탁구공 크기)을 먹도록 하고
나머지는 기타의 단백질인 생선 및 식물성 단백질로 섭취토록 한다.
그리고 이 단백질도 여타의 영양 성분처럼 식단의 구성에서 매일 균등하게 먹는 것이 한번씩 폭식하는 것보다 더 영양적이다.
한국인은 해가 갈수록 동물성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여
비만, 대장암 등 질병의 원인이 되어있으므로
가정의 주부는 부엌에 작은 저울을 두고서 가족들의 식단을 구성할 것을 권한다(특히 식품의 값이 비싼 단백질량 점검).
작은 저울은 마트 등에서 손 쉽게 구할 수 있다.
0. 햄, 소세지의 섭취
2017. 7. 27일자 신문에 의하면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매케인씨가 뇌종양 수술을 받고서도 미국의 국회에 참석했다. 미국은 건강보험법이 국회에 상정이 되고서 오래 전부터 해결이 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비유해서 한국의 건강보험법은 출범해서 비교적 순탄하게 진전이 되고 있다고 말하여 진다.
물론 개선을 동반하는 진전이다. 이제 한국인은 유병장수하는 것보다 무병장수해야 한다. 그리해야 건강보험의 재정이 흑자가 된다.
곡류 및 과일류의 식물성 식품에서보다
육류를 즐겨 섭취하는 사람들에게서 암이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우유를 발효시켜 요구르트가 되듯이 돼지고기 쇠고기 등이 저장식품으로 가공한 것이 햄 및 소세지이다.
햄 및 소세지에는 가공과정에서 붉은 색을 내는 발색제 및 보존제인 아질산염이 첨가가 되는데 이를 과다 섭취하면 인체에서 발암물질이 된다. 또한 훈제한 식품(연기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섭취해도 인체에서 발암물질이 생성된다고 한다.
그래서 정부식품에는 요구르트도 햄 및 소세지도 없으며 또한 훈제식품도 없다. 육류는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것을 구입해서 조리하여 먹도록 한다.
참고 문헌
0. 사단법인 대한영양사협회, [식사계획을 위한 식품교환표 (어육류군 6쪽)]
0. ?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년 16쪽 ~18쪽
0. 조선일보(1면), 동아일보(A8면) 2017. 7. 27일자
_____________________
*콜레스테롤 .......... 계란 노른자, 육류의 내장, 생선의 알류, 오징어에 많다.
-- 2017. 7. 27(목) --
등록 : 2017. 7. 27(목)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
.
★
.........................
BMI (체질량지수) : [ ` 2001 국민 .건강 영양 조사 ]
.........................
0. 체중 ( 남녀간 성차 )
* 한국인 남성의 체중 분포 : 35세 ~39세에 최대 값 : 70. 8 kg
* 한국인 여성의 체중 분포 : 50세 ~54세에 최대 값 : 59. 8 kg
0. BMI (체질량지수) : 체중 Kg / 키 (m) 제곱
* 1998년보다 남녀 모두 증가 (2001년 현재)
* 비만유병율은 남성들은 40대 전까지 높으며 여성은 40대 이후 비만유병율이 높아짐
* 여성은 BMI가 60대에 가장 높고 전체 비만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았다.
1. [ BMI 분포도 - 한국인 2001년 현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연령 / 20세~29세 / 40세~49세 / 60세~69세 / 70세 ~79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남 / 23.2 / 24.2 (최대) / 23. 2 / 22. 5
................................................................................
여 / 21. 4 / 23. 9 / 24. 9 (최대) / 23. 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 BMI에 의한 비만, 체중 부족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분 / BMI (체질량지수 = 체중 kg / 키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체중 부족 / 18.5 미만
정상 체중 / 18.5 ~ 24. 9
체중과다 / 25.0 ~ 29. 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 BMI 계산 ] - 체중 kg / 키 ㎡
* 체중이 60kg이며 키가 160cm일 때 ..............
60 / (1.6m ) 제곱
60 / 1.6 × 1.6
60 / 2.56 = 23.4 (BMI 지수 - 정상 )
* 체중이 57kg이며 키가 157cm일 때 ...........
57 / (1.57)제곱
57 / 1.57 × 1.57
57 / 2.46 = 23. 1 (BMI 지수 - 정상 )
참고 문헌 :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년 158쪽~160쪽
등록 :2020. 7. 28(화)
식약처 (처장 : 이의경)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자유 게시판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
글 등록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